숙의 범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숙의 범씨는 금성 범씨 범원식의 딸로, 조선 철종의 후궁이다. 1838년에 태어나 궁에 들어가 철종의 총애를 받았으나 후궁으로 책봉되지는 못했다. 1859년 영혜옹주를 낳았고, 1866년 신정왕후에 의해 종2품 숙의에 봉해졌다. 1863년 철종 사후 궐 밖에서 영혜옹주와 함께 살았으며, 1883년 사망하여 서대문구 홍은동에 안장되었다가 서삼릉 후궁 묘역으로 이장되었고, 서삼릉과 함께 사적 제200호로 지정되었다. 딸 영혜옹주는 박영효에게 시집갔으나 14세에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철종 - 최익현
최익현은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의병장으로, 흥선대원군의 정책을 비판하고 을사늑약 체결에 반대하며 의병을 일으켰으며, 위정척사 사상을 바탕으로 외세 침략에 저항하다 대마도에서 순국하고 건국훈장을 추서받았다. - 조선 철종 - 숙의 방씨
숙의 방씨는 철종의 후궁으로 두 딸을 낳았으나 모두 요절하였고, 사후 조귀인의 예에 따라 장례를 치렀으며 묘는 서삼릉 후궁 묘역으로 이장, 해당 묘역은 사적으로 지정되었고 드라마에서 묘사되기도 했다. - 1883년 사망 - 카를 마르크스
카를 마르크스는 독일의 철학자, 경제학자, 사회학자, 역사가, 언론인, 혁명가이자 공산주의 사상 창시자 중 한 명으로, 『공산당 선언』과 『자본론』 등을 통해 역사적 유물론, 계급 투쟁, 자본주의 비판 이론을 체계화하여 사회주의 운동과 현대 사회 사상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883년 사망 - 뜨득 황제
뜨득 황제는 1847년부터 1883년까지 베트남을 통치한 응우옌 왕조의 황제로, 기독교 탄압, 쇄국 정책, 프랑스와의 전쟁 패배, 사이공 조약 체결 등을 겪었으며, 그의 사후 응우옌 왕조는 프랑스의 보호국이 되었다.
숙의 범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숙의 범씨 |
로마자 표기 | Sukui Beomssi |
한글 | 숙의 범씨 |
한자 | 淑儀 范氏 |
가문 | 금성 범씨 (출생) |
생애 | |
출생 | 1838년 |
사망 | 1884년 1월 23일 (46세) |
사망 장소 | 한성, 조선 |
매장지 | 서삼릉 경내,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 |
가족 관계 | |
아버지 | 범원식 |
배우자 | 철종 |
자녀 | 영혜옹주 (딸) |
양자 | 이융준 |
궁중 경력 | |
지위 | 궁인 (宮人) |
임명 | 1857년 |
종교 | 한국 불교 |
2. 생애
금성 범씨 범원식의 딸로,[7][8] 1838년에 태어났다. 궁중에 여관(내인/나인)으로 입궁하여 철종의 총애를 받았으나, 후궁으로 책봉되지는 않았다.[9] 철종의 승은을 입고도 '궁인 범씨(宮人 范氏)'로만 불렸다.[9]
1859년, 여관 신분으로 영혜옹주를 낳았다.
고종 연간인 1866년(고종 3년) 대왕대비였던 신정왕후 조씨에 의해 종2품 숙의에 봉해졌다.[10] 이때 그녀의 딸도 옹주에 봉해져 영숙옹주의 작호를 받았으며, 훗날 영혜옹주로 개봉되었다.[11]
1863년(철종 14년) 철종이 사망한 후 숙의 범씨는 궐 밖에서 딸 영혜옹주와 함께 살았으며, 이때 저택을 짓는데 필요한 금액 및 생활비는 모두 호조에서 지급하였다.[12]
1883년(고종 20년) 음력 12월 26일 46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13] 상사에 필요한 물건은 호조로부터 지급되었으며,[7] 현재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은동에 안장되었다. 이후 그녀의 묘는 1969년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에 있는 서삼릉 경내의 후궁 묘역으로 이장하였으며, 1970년 5월 26일에는 서삼릉과 함께 대한민국의 사적 제200호로 지정되었다.[7]
철종과의 사이에서 낳은 딸 영혜옹주는 철종의 정비인 철인왕후를 비롯한 여러 비빈에게서 낳은 여러 자식들 중 유일하게 살아남았으나, 박영효에게 하가한지 3개월만인 1872년(고종 9년) 음력 7월 4일 자식도 얻지 못한 채 14세의 어린 나이로 사망하였다.[14] 이로써 철종의 후계는 완전히 끊어지게 된다.
2. 1. 출생과 입궁
금성 범씨 범원식의 딸로,[7][8] 1838년에 태어났다. 궁중에 여관(내인/나인)으로 입궁하여 철종의 총애를 받았으나, 후궁으로 책봉되지는 않았다.[9] 1859년, 여관 신분으로 영혜옹주를 낳았다.고종 연간인 1866년(고종 3년) 대왕대비였던 신정왕후 조씨에 의해 종2품 숙의에 봉해졌다.[10] 이때 그녀의 딸도 옹주에 봉해져 영숙옹주의 작호를 받았으며, 훗날 영혜옹주로 개봉되었다.[11]
1863년(철종 14년) 철종이 사망한 후에는 궐 밖에서 딸 영혜옹주와 함께 살았으며, 이때 저택을 짓는데 필요한 금액 및 생활비는 모두 호조에서 지급하였다.[12]
2. 2. 영혜옹주 출산
금성 범씨 범원식의 딸로,[7][8] 철종의 승은을 입었으나 '궁인 범씨(宮人 范氏)'로만 불렸다.[9] 1859년, 여관 신분으로 영혜옹주를 낳았다.고종 3년인 1866년에 신정왕후 조씨에 의해 종2품 숙의에 봉해졌다.[10] 이때 영혜옹주도 옹주에 봉해졌다.[11]
1863년 철종이 사망한 후 궐 밖에서 영혜옹주와 함께 살았으며, 저택 건축 및 생활비는 모두 호조에서 지급하였다.[12]
2. 3. 철종 사후
철종이 1863년(철종 14년) 사망한 후 숙의 범씨는 궐 밖에서 딸 영혜옹주와 함께 살았으며, 이때 저택을 짓는데 필요한 금액 및 생활비는 모두 호조에서 지급하였다.[12]1883년(고종 20년) 음력 12월 26일 46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13] 상사에 필요한 물건은 호조로부터 지급되었으며,[7] 현재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은동에 안장되었다. 이후 그녀의 묘는 1969년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에 있는 서삼릉 경내의 후궁 묘역으로 이장하였으며, 1970년 5월 26일에는 서삼릉과 함께 사적 제200호로 지정되었다.[7]
철종과의 사이에서 낳은 딸 영혜옹주는 철종의 정비인 철인왕후를 비롯한 여러 비빈에게서 낳은 여러 자식들 중 유일하게 살아남았으나, 박영효에게 하가한지 3개월만인 1872년(고종 9년) 음력 7월 4일 자식도 얻지 못한 채 14세의 어린 나이로 사망하였다.[14] 이로써 철종의 후계는 완전히 끊어지게 된다.
2. 4. 사망과 묘소 이장
숙의 범씨는 1883년(고종 20년) 음력 12월 26일 46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13] 상사에 필요한 물건은 호조에서 지급되었으며,[12] 현재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홍은동에 안장되었다. 이후 그녀의 묘는 1969년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에 있는 서삼릉 경내의 후궁 묘역으로 이장하였으며, 1970년 5월 26일에는 서삼릉과 함께 대한민국의 사적 제200호로 지정되었다.[7]3. 가족 관계
아버지 범원식(范元植)과 어머니 미상의 딸로 태어났다. 시아버지는 전계대원군(1785~1844)이다. 남편은 조선의 제25대 왕 철종(1831~1863, 재위:1849~1863)이다. 외동딸 영혜옹주(1859~1872)는 박영효에게 하가하였다.
4. 관련 작품
- 1975년 TBC 드라마 《임금님의 첫사랑》에서 윤초희가 연기하였다. 1990년 MBC 드라마 《대원군》에서는 채시라가 연기하였다. 2020년 조선방송의 드라마 《바람과 구름과 비》에서는 왕빈나가 연기했다.
4. 1. 드라마
1975년 TBC 드라마 《임금님의 첫사랑》에서 윤초희가 숙의 범씨를 연기하였다. 1990년 MBC 드라마 《대원군》에서는 채시라가 연기하였다. 2020년 조선방송의 드라마 《바람과 구름과 비》에서는 왕빈나가 숙의 범씨를 연기했다.참조
[1]
문서
Park Yung-hyo, Prince Consort Geumneung (박영효, 금릉위)와의 혼인
[2]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2021-07-02
[3]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4]
웹사이트
조선왕조실록
http://sillok.histor[...]
[5]
웹사이트
묘 이야기
https://royaltombs.c[...]
[6]
문서
조선왕조실록 고종 9년(1872) 7월 4일 1번째 기사
[7]
웹사이트
네이버 백과사전 〈숙의범씨묘〉항목
http://100.naver.com[...]
[8]
서적
한국 왕실여성 인물사전
https://books.google[...]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6-12-04
[9]
문서
조선왕조실록 철종 대왕 묘지문, 철종 대왕 행장
[10]
문서
조선왕조실록 고종 3년(1866) 2월 13일 2번째 기사
[11]
뉴스
서삼릉-예릉, 25대 철종·철인왕후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09-12-09
[12]
문서
조선왕조실록 고종 3년(1866) 2월 15일 2번째 기사
[13]
문서
조선왕조실록 고종 20년(1883) 음력 12월 26일 1번째 기사
[14]
문서
조선왕조실록 고종 9년(1872) 7월 4일 1번째 기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